광기가 만든 비합리적 투기 열풍
본문 바로가기

책소개/경제경영

광기가 만든 비합리적 투기 열풍

금융의 역사에서 비이성적 수준으로 가격이 상승하다가 예고 없이 갑자기 폭락하는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일컫는 '버블'이라는 표현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1700년대 초에 발생한 남해회사 사건이 일어났을 때였습니다.

 

역사적으로 이때의 일을 '남해 버블'이라고 불렀습니다. 남해회사는 1711년 영국에서 주식회사 형태로 설립돼 그 주식을 일반 사람들이 거래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남해라는 명칭은 남반구 전체를 지칭하는 말이었고, 스페인의 지배를 받고 있었던 남아메리카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영국 왕정이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하는 모든 무역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남해회사에서 부여하자 이 회사 주식이 영국 주식 시장의 총아가 됐습니다. 스페인의 지배를 받고 있는 남아메리카에서 영국 회사가 어떻게 무역을 해서 수입을 올리겠다는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은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영국인들은 남해회사에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해 주식을 마구 매입했습니다. 주가가 오르고, 또 올라간 주가를 보고 더 사려 드는 전형적인 버블 혹은 광증이 나타났습니다. 1719년 초반에는 1주당 100파운드 정도에 불과했던 주가가 1720년 중반에는 1천 파운드까지 상승합니다.

 

그러던 것이 하루아침에 200파운드까지 폭락했고, 1721년에는 결국 100파운드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거래됐습니다. 이미 오를 대로 오른 상태에서 주식을 매입한 투기 거래자들과 투자자들은 엄청난 손실을 입었습니다. 그럼에도 남해회사는 1850년대까지 영국 왕실의 부채를 처리하는 회사로서 존속합니다.

 

남해회사에 손을 댔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 중에는 유명한 과학자 아이작 뉴턴도 있었습니다. 당시 뉴턴은 영국 왕립조페국의 대표 책임자로 일하고 있었는데, 이는 지금으로 말하면 중앙은행장과 비슷합니다.

 

뉴턴이 "나는 별들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지만 사람들의 광기는 계산할 수가 없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손실을 사후 약방문식으로 합리화했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또 다른 버블은 바로 네덜란드의 '튤립 광장'입니다. 네덜란드는 1600년대 국력이 강해지면서 막대한 잉여 자금이 국내에 축적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자금은 어디론가 흘러들어 가 자산 버블을 만들 가능성이 농후했습니다. 

 

암스테르담은 당시에도 세계적인 꽃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상품인 튤립에 바로 자산 버블이 생겼습니다. 특히 흔히 볼 수 없는 희귀한 종류의 튤립일수록 투기 수요가 몰렸고, 특정한 바이러스 감염돼 그 모양과 색깔이 기이하게 바뀐 튤립 종자는 가장 귀하고 가치가 높은 자산으로 간주됐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했던 '영원한 황제'라는 종자는 한 송이가 광증의 최정점에서 무려 4만 9천 제곱미터의 땅과 교환될 정도였고, 숙련된 기술자 연봉의 20배가 넘는 가격에 팔리기도 했습니다. 당시 네덜란드는 세계 금융의 최전선에 위치한 금융 혁신 진원지였습니다.

 

세계 최초로 공식적인 거래소를 발명해 낸 곳이어서, 실물 튤립이 거래되는 튤립 현물 시장뿐 아니라 파생거래의 일종인 선도가 거래되는 튤립 선도 시장이 크게 형성돼 있었습니다. 선도는 앞에서도 보았듯이 자산을 사고팔 때 계약만 하고 실제 물건의 인도와 대금의 지급이 당장이 아닌 미래의 시점에 이행하는 것이므로, 선도가 투기의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굉장히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